브라이언 맥라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이언 맥라렌은 미국의 기독교 사상가이자 작가이다. 1970년대 예수 운동에 매료되었으며,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캐리 신학대학원과 버지니아 신학대학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초교파 교회인 시더 리지 커뮤니티 교회를 설립하여 목회 활동을 했으며, 이머징 교회 운동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다. 동성애에 대한 입장을 밝히며 논란을 겪었으며, 저서와 강연을 통해 기독교 사상을 전파했다. 그의 신학적 입장은 보수 기독교계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기독교 지도자 - 토머스 S. 몬슨
토머스 스펜서 몬슨은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제16대 회장으로, 유타 대학교 경영학 학사, 데저릿 뉴스 프레스 경영직 역임 후 십이사도 정원회에 부름받아 고든 비 힝클리 회장 서거 후 교회 회장이 되어 사망할 때까지 봉직했으며, 보이스카우트 운동 참여와 저술 활동으로도 알려졌다. - 미국의 기독교 지도자 - 오스 기니스
오스 기니스는 1941년 중국에서 태어난 아일랜드 혈통의 기독교 사상가이자 사회 비평가로서, 런던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라브리 공동체 리더, BBC 리포터, 연구원 등을 거쳐 윌리엄스버그 헌장 작성에 참여하고 트리니티 포럼 설립 및 옥스퍼드 기독교 변증 센터 선임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다. - 기독교 급진주의자 - 데이비드 델린저
데이비드 델린저는 미국의 평화 운동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양심적 병역 거부, 시민권 운동 참여,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을 펼쳤으며, 시카고 7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고, 비폭력 저항과 사회 정의를 위해 헌신하다 2004년에 사망했다. - 기독교 급진주의자 - 존 볼 (사제)
존 볼은 14세기 잉글랜드의 사제이자 급진적인 설교가로,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평등을 주장하며 떠돌이 설교자로 활동했고, 와트 타일러의 난 당시 설교로 유명했으며, 반란 후 처형되어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 1956년 출생 - 조대환
조대환은 강력 및 특수 분야 수사를 담당한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 변호사 개업 후 삼성 비자금 의혹 특별검사보,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활동 및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추천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 1956년 출생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브라이언 맥라렌 | |
|---|---|
| 기본 정보 | |
![]() | |
| 존칭 접두사 | 목사 |
| 이름 | 브라이언 D. 맥라렌 |
| 국적 | 미국 |
| 출생 연도 | 1956년 |
| 직업 | |
| 직업 | 작가 목사 |
| 학력 | |
| 모교 | 메릴랜드 대학교 |
| 종교 | |
| 종교 | 기독교 |
| 경력 | |
| 교회 | 시더 리지 커뮤니티 교회, 스펜서빌 (메릴랜드) (1982–2006) |
2. 생애와 경력
맥라렌은 행동과 묵상을 위한 센터의 교수진이자 학장으로 활동하고 있다.[3] 1978년부터 1986년까지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쳤으며, 1982년에는 메릴랜드주 스펜서빌에 초교파 교회인 시더 리지 커뮤니티 교회를 공동 설립하여[6] 2006년까지 창립 목사로 섬겼다. 이 교회는 500명 규모로 성장했다.[7]
맥라렌은 그의 저술과 강연을 통해 점차 폭넓은 영향력을 갖게 되었으며, 2015년에는 ''타임''지에 의해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복음주의자 25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10]
그는 결혼하여 4명의 자녀와 5명의 손주를 두고 있다.[5][11] 2012년 9월에는 메릴랜드주 체비 체이스에 있는 오듀본 자연주의자 협회에서 아들 트레버와 그의 파트너 오웬 라이언의 약혼식을 주례했다.[1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메릴랜드주 록빌에서 보수적인 오픈 브레thren 배경에서 성장했으며, 1970년대 반문화적인 예수 운동에 영향을 받았다.[2]맥라렌은 메릴랜드 대학교에서 학사(1978)와 석사(1981) 학위를 받았다.[4][5] 이후 밴쿠버에 있는 캐리 신학대학원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2010년에는 버지니아 신학대학원(감독교회)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신학적 입장 변화와 논란
2011년 맥라렌은 롭 벨의 저서 ''Love Wins''를 둘러싼 논쟁에서 알버트 모흘러와 같은 인물들의 비판에 맞서 벨을 옹호했다. 당시 모흘러는 벨이 보편주의를 옹호한다고 주장하며 비판했다.[8] 이후 2013년에는 동성애 행위가 죄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일부 기독교계 내에서 논쟁을 일으켰다.[9]3. 주요 사상
(내용 없음)
4. 저서
브라이언 맥라렌은 이머징 처치 운동을 이끄는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다수의 저서를 통해 현대 사회 속 기독교 신앙의 의미와 실천 방안을 모색해왔다.[1] 그의 저술 활동은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복음주의적 관점에 도전하고, 사회 정의와 공동체적 신앙 실천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2]
맥라렌의 책들은 독자들에게 익숙한 신앙의 틀을 넘어 새로운 질문을 던지도록 유도하며, 특히 신앙의 여정에서 고민하는 이들이나 기존 교회 문화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이들에게 공감을 얻고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교회론을 다룬 ''반대편에 있는 교회'', 예수의 가르침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예수의 비밀 메시지'', 다원화된 사회에서의 기독교 정체성을 탐구한 ''왜 예수, 모세, 부처, 무함마드는 길을 건넜을까?'' 등이 있다. 그는 단독 저서 외에도 여러 학자들과의 공저 및 시리즈 출간을 통해 자신의 신학적 입장을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4. 1. 단독 저서
| 제목 | 출판 지역 | 출판사 | 출판 연도 |
|---|---|---|---|
| 믿음 찾기: 당신의 영적 탐구를 위한 자기 발견 가이드 | 그랜드래피즈 | 존더번 | 1999 |
| 당신이 깨닫는 것보다 더 준비되어 있습니다: 일상 대화의 힘 | 그랜드래피즈 | 존더번 | 2002 |
| 반대편에 있는 교회: 포스트모던 매트릭스에서 사역하기 | 그랜드래피즈 | 존더번 | 2003 |
| 예수의 비밀 메시지: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진실을 밝히다 | 내슈빌 | 토마스 넬슨 | 2006 |
| 모든 것은 변해야 한다: 세상의 가장 큰 문제와 예수의 좋은 소식이 충돌할 때 | 내슈빌 | 토마스 넬슨 | 2009 |
| 새로운 종류의 기독교: 믿음을 변화시키는 열 가지 질문 | 샌프란시스코 | 하퍼원 | 2010 |
| 벌거벗은 영성: 12개의 간단한 단어로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 | 샌프란시스코 | 하퍼원 | 2011 |
| 왜 예수, 모세, 부처, 무함마드는 길을 건넜을까? 다중 신앙 세계에서의 기독교 정체성 | 런던 | 호더 & 스토튼 | 2012 |
| 우리가 발견하는 이야기: 새로운 종류의 기독교인의 추가 모험 | 런던 | SPCK | 2013 |
| 우리는 걸어가면서 길을 만든다: 영적 형성, 재지향 및 활성화를 위한 1년 간의 탐구 | 예리코 북스 | 2014 | |
| 위대한 영적 이동: 세계 최대의 종교가 기독교인이 되는 더 나은 방법을 찾는 방법 | 콜로라도스프링스 | 컨버전트 | 2016 |
| 생동감을 추구하며: 기독교 신앙을 경험하고 실천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한 매일의 묵상 | 런던 | 호더 & 스토튼 | 2017 |
| 의심 후의 믿음: 당신의 믿음이 작동을 멈춘 이유와 그것에 대해 해야 할 일 | 에든버러 | 존 머레이 프레스 | 2021 |
| 내가 기독교인으로 남아야 할까?: 의심하는 자, 실망한 자, 환멸을 느낀 자를 위한 안내 | 런던 | 호더 & 스토튼 | 2022 |
| 둠 이후의 삶: 세상이 무너져 내릴 때의 지혜와 용기 | 런던 | 아셰트 | 2024 |
4. 2. 공저
- 레너드 스위트, 브라이언 D. 맥라렌, 제리 하젤마이어 공저, ''A is for Abductive: The Language of the Emerging Church'', 그랜드 래피즈: 존더번, 2003.
- 브라이언 맥라렌, 엘리사 파디야, 애슐리 번팅 시버 공편, ''정의 프로젝트'' (Emersion: 에머전트 빌리지 신앙 공동체를 위한 자료 시리즈), 에이다: 베이커, 2009.
- 브라이언 D. 맥라렌, 가레스 히긴스 공저, ''The Seventh Story: Us, Them, and the End of Violence'', Porch, 2019.
4. 3. 시리즈
맥라렌이 참여하거나 저술한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Emergent YS'''
- * 브라이언 D. 맥라렌, 토니 캄폴로, ''실수를 찾아가는 모험: 문화에 의해 통제되는 교회가 어떻게 복음을 무력화시켰는가'',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2003.
- * 앤디 크라우치, 마이클 호튼, 프레데리카 매튜스-그린, 브라이언 D. 맥라렌, 어윈 라파엘 맥마너스 (편집: 레오라드 스위트), ''부상하는 문화 속의 교회: 다섯 가지 관점'',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2003.
- * ''관대한 정통성: 내가 선교적 + 복음주의적 + 포스트/개신교적 + 자유/보수적 + 신비주의적/시적 + 성경적 + 카리스마적/묵상적 + 근본주의적/칼뱅주의적 + 재세례파/성공회적 + 감리교적 + 가톨릭적 + 친환경적 + 육화적 + 절망적이지만 희망적인 + 이머전트 + 미완성의 그리스도인인 이유'',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2006.
- '''The Voice'''
- * 브라이언 D. 맥라렌, 크리스 시, ''발의 먼지를 털어내라: 첫 번째 교회의 교훈'', 내슈빌: 토마스 넬슨, 2006.
- * 브라이언 D. 맥라렌, 크리스 시, ''누가의 목소리: 심지어 샌들도'', 내슈빌: 토마스 넬슨, 2007.
- '''Finding Faith'''
- * ''믿음을 찾아서: 진실한 것을 찾아서'',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2007.
- * ''믿음을 찾아서: 의미를 찾는 탐구'', 그랜드 래피즈: Zondervan, 2007.
- '''Jossey Bass Leadership Network'''
- * ''새로운 종류의 기독교인: 영적인 여정 속 두 친구의 이야기'', 호보켄: 조시 베스, 2008.
- * ''마지막 말과 그 후의 말: 믿음, 의심, 그리고 새로운 종류의 기독교에 대한 이야기'', 호보켄: 조시 베스, 2008.
- '''고대 관습 (Ancient Practices)'''
- * 브라이언 D. 맥라렌, 필리스 티클, ''다시 길을 찾아서: 고대 관습의 귀환'', 내슈빌: 토마스 넬슨, 2010.
- '''On Location'''
- * ''갈라파고스 제도: 영적인 여정'', 미니애폴리스: 요새 출판사, 2019.
5. 비판과 논쟁
브라이언 맥라렌의 사상과 저술은 기독교계 내에서 폭넓은 논의를 촉발했으며, 동시에 상당한 비판과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그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사고방식과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에 대한 도전적인 해석은 보수적인 신학자들을 중심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1][2][3][4] 대표적인 비판자로는 D. A. 카슨, 밀라드 에릭슨, R. 스콧 스미스 등이 있으며, 이들은 여러 저서를 통해 맥라렌의 신학적 입장에 대한 우려와 비판적 분석을 제기하였다.[1][2][3][4] 이러한 논쟁은 현대 기독교 신학의 흐름과 복음주의의 방향성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지며 지속되고 있다.
5. 1. 보수 기독교계의 비판
브라이언 맥라렌의 신학적 입장,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평가되는 그의 견해는 복음주의를 포함한 보수적인 기독교계로부터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비판자로는 D. A. 카슨, 밀라드 에릭슨, R. 스콧 스미스 등이 있다.D. A. 카슨은 그의 저서 ''떠오르는 교회에 대한 대화''(2005)에서 맥라렌을 포함한 이머징 처치 운동 지도자들의 신학적 방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밀라드 에릭슨은 ''신앙의 포스트모더니즘화''(1998)와 ''중심을 되찾다''(2004, 공저) 등의 저서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이 복음주의 신앙에 미치는 영향과 맥라렌과 같은 인물들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R. 스콧 스미스 역시 ''진실과 새로운 종류의 기독교''(2005)에서 맥라렌의 사상이 전통적인 기독교 진리관에서 벗어난다고 주장하며 비판에 가세했다.
이러한 비판들은 주로 맥라렌의 성경 해석 방식, 구원론, 동성애를 포함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상대주의적 태도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보수 기독교계는 맥라렌의 접근이 기독교의 핵심 교리를 약화시키고 세속적인 가치관과 타협한다고 우려한다.
6.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작성할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Brian McLaren: Postmodern Christianity Understood as Story
http://www.christian[...]
2017-08-22
[2]
뉴스
Evangelical Author Puts Progressive Spin On Traditional Faith
https://www.washingt[...]
2023-01-03
[3]
웹사이트
Building on Richard Rohr's Founding Vision
https://cac.org/abou[...]
2024-04-04
[4]
뉴스
Author Brian McLaren to speak at summer worship series
2010-08-12
[5]
뉴스
Fire without brimstone: Brian McLaren preaches tolerance and environmentalism, making him one of the country's more unusual yet influential evangelicals
2005-04-27
[6]
웹사이트
Cedar Ridge Community Church
https://www.crcc.org[...]
2024-04-03
[7]
웹사이트
'The Bible is a book about immigration': Emerging Church leader McLaren returning to Birmingham
https://www.al.com/l[...]
2014-08-02
[8]
웹사이트
Brian McLaren Defends Rob Bell against Mohler's Critique
http://www.christian[...]
2017-08-22
[9]
웹사이트
Brian McLaren's View on Homosexuality
http://www.patheos.c[...]
2012-10-08
[10]
뉴스
Brian McLaren - Paradigm Shifter
https://web.archive.[...]
2005-02-07
[11]
웹사이트
About Brian McLaren
https://brianmclaren[...]
2022-04-19
[12]
뉴스
Trevor McLaren, Owen Ryan - Weddings
https://www.nytimes.[...]
2012-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